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조영임

출생:, 대한민국 충청북도 제천

최근작
2020년 9월 <천곡 송상현의 학문과 사상>

계림일기

이 책은 <계림일기>라는 책 이름이 말해 주듯 중국 계림에서 생활하면서 1년간 쓴 일기를 모아 엮은 것입니다. 일기의 사전적 정의는, “날마다 그날그날 겪은 일이나 생각, 느낌 따위를 적는 개인의 기록”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 책은 매우 사적인 기록입니다. 이렇듯 매우 사적인 기록을 ‘왜 굳이 책으로 펴내야 했나’ 라는 질문을 받게 된다면 저는 이렇게 대답하고자 합니다. 첫째, 기록은 그것이 어떠한 성향을 지녔든 간에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민족과 나라의 기록이 중요한 것만큼 개인의 기록도 소중합니다. 이것은 한 개인의 삶의 발자취이자 역사이기 때문입니다. 개인의 역사를 기록하는 데 일기만큼 적절한 표현방식이 없어 보입니다. 둘째, 일기가 개인의 역사를 기록한 것이긴 하지만 개인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일원이기 때문에 그 안에는 다채로운 삶과 사회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 글을 읽는 독자는 제가 살고 있는 중국 계림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예컨대 계림의 365일 날씨는 어떠한지, 계림 사람들은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가는지, 계림의 볼만한 관광지는 어디인지 등등과 같은 것들 말입니다. 셋째, 한 사람의 내면 의식을 드러내는 데 일기보다 적절한 표현 방식은 없어 보입니다. 논문은 이런저런 소소한 삶의 느낌들을 드러낼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런데 삶을 살다보면 기억해두고 싶은 사건과 느낌들이 참으로 많습니다. 저는 그러한 것들을 일기라는 형식으로 담아보았습니다. 그러므로 이 책은 저의 맨얼굴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넷째,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세상의 많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인천공항에서 비행기로 4시간이면 도착하는 계림의 풍정은 편린(片鱗)이기는 하지만 인터넷에서 확인할 수 있고, 한국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뉴스도 이곳 계림에서 실시간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적지 않은 분들은 아직 인터넷 정보를 공유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는 저의 두 분 어머니도 계십니다.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전혀 다룰 줄 모르는 두 분 어머니는, 저와 아들이 ‘머나먼 중국 땅에서 어떻게 살아가는지’ 늘 걱정이 태산 같다고 하십니다. 아무리 말씀드려도 걱정을 내려놓지 않는 두 분이 이 책을 읽으신다면 한결 마음을 놓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365일 일기를 쓰면서 지속적으로 무언가를 기록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괴로운 일인지 새삼 깨달았습니다. 조선시대에 『흠영(欽英)』이라는 방대한 일기를 남긴 유만주라는 어른이 새삼 존경스러웠습니다. 쓰지 않으면 없어지고 맙니다. 기록하지 않으면 지나온 삶의 발자취가 흐릿해지기 마련입니다. 기록을 통해 삶을 기억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책을 출간하는 데 여러 분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중국 생활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 주신 이영남 교수와 전금숙 교수께서 글들을 꼼꼼하게 읽고 조언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또한 연대대학에서 함께 근무했던 김붕래 교수님께서도 옛 정을 잊지 않고 살뜰하게 글을 보아주셨습니다. 아울러 이 책을 출간해 주신 학민사 여러분께도 고개 숙여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2015년 8월

연행일기

이 책은 조선 중기에 활동했던 정세규(1583~1661)의 연행일기를 한글로 옮긴 것이다. 정세규는 1645년 63세의 나이에 사은겸진하부사로 차출되어 북경을 다녀오게 되는데, 이때 남긴 일기가 바로 연행일기이다. 정세규의 자는 군칙(君則), 호는 동리(東里)이며,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우의정을 역임한 정언신(鄭彦信)의 손자이며 정율(鄭慄)의 아들로, 화순현감, 안산군수, 충청도관찰사, 호조참의, 전라도관찰사, 공조·이조·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바 있다. 연행록은 ‘동아시아의 문학과 철학, 문화와 역사, 외교와 교역, 학문과 비평 등에 관한 광범위하고 다양한 기록의 보고’이기 때문에 일찍부터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정세규의 연행일기 역시 개인적 체험을 넘어 중국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서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며, 명청(明淸) 교체기의 혼란했던 시기에 조선 지식인이 겪은 고뇌와 대청(對淸) 의식 등을 여실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17세기 연행록군 중 주목할 만한 사료라 여겨진다. 이 책을 출간하는데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다. 석촌 이두희 선생님과 고산 한석수 선생님께서 번역본을 꼼꼼하게 읽고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 주셔서 오역을 줄일 수 있었다. 원문 입력은 김정선, 김은일, 송지현 후배들이 맡아서 했다. 이 자리를 빌어 두 분 선생님과 후배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또한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자 선대의 귀한 유품을 유실하지 않고 잘 보존하여 후세에게 열람할 기회를 준 동래 정씨 나암공파(懶菴公派) 34손 정종호 선생님께 깊은 감사드린다. 끝으로 이 책의 출간으로 정세규의 연행일기가 본격적으로 연구되길 기대하면서, 출판을 기꺼이 맡아주신 학민사 여러분께도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2014년 1월 誠敬齋에서 曺永任 - 책을 내며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