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근대개화기
rss
이 분야에 15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1.

고종 황제의 손녀이며 의친왕의 딸인 이해경 왕녀가 자신을 비롯한 황실 가족의 삶을 회고한 책이다. 왕녀로 지낸 시간과 일제 강점기,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학창 시절, 해방을 거쳐 6·25전쟁까지의 혼란 등을 고스란히 기록했다.

2.

대한민국 대표 역사 커뮤니케이터 심용환의 한국사. 대한민국 대표 역사 커뮤니케이터이자 역사학자인 심용환 저자는 객관적인 사료와 철저한 연구를 중심으로 쓰되 역사적 시간의 간극을 상상력으로 빚어내 지나간 역사 속에서 오늘을 살아갈 지혜를 찾고자 한다.

3.

규장각 소장 문서로 1876~1910년까지 조선(대한제국)과 청, 일본 및 서구 열강 사이에 오고 간 공문서로 부속문서 8권을 포함하여 총 30권으로 구성되었다. 일안(日案)은 1876~1905년까지 일본과 주고받은 외교문서로 1~7권이다.

4.

규장각 소장 문서로 1876~1910년까지 조선(대한제국)과 청, 일본 및 서구 열강 사이에 오고 간 공문서로 부속문서 8권을 포함하여 총 30권으로 구성되었다. 일안(日案)은 1876~1905년까지 일본과 주고받은 외교문서로 1~7권이다.

5.
6.

<대한제국기 간도 자료집>은 100여 년 전 간도 관련 자료를 번역하고 정리하는 작업으로 기획되었다. 학술적으로 근대 간도 문제는 영토 문제와 주민 문제를 포함한다.

7.
8.
9.

저자인 문성우 변호사는 검사로 재직하는 동안 우리 사회의 각종 사건사고를 접하며 수많은 갈등의 원인에 대해 근원적인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의구심이 우리 역사에 대한 천착으로 이어져 해방과 건국 이래 역사를 탐구하게 되었다.

10.

대한민국 정체성 총서 19권의 중요한 목적은 미군정 3년 동안 남한 정치계를 소용돌이 치게 만듦으로써 심각한 정치적 대결과 갈등의 원천으로 작용 했던 두 개의 정치적 현안들인 ‘한반도 국제신탁통치안’과 ‘남한 단독 정부수립론’에 대한 이승만과 하지의 인식과 대응을 분석한 것이다.

11.

개화기 흥선대원군부터 경술국치의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건국, 4·19 혁명, 5·16 군사 쿠데타, 12·12 신군부 쿠데타, 5·18 광주민주화운동, 세월호 참사, 그리고 박근혜 대통령 탄핵까지, 한국 근현대사의 궤적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다.

12.

1894년 갑오개혁 이후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에 이르기까지 한국정부와 일제 당국의 토지정책에 대해 검토한 논문들을 재구성한 책이다. 이 시기를 여기서는 '근대전환기'라고 표현하였다. 이 책에서는 한국정부의 토지정책과 일제의 토지정책을 연속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13.

일본과 한국에서 두루 한국 근대사를 연구한 학자 모리 마유코는 대한제국의 수립에서 붕괴에 이르는 세세한 과정을 다시 들여다봄으로써, 양국 시민이 당대 역사를 올바로 인식하고 서로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14.

‘대한민국 정체성 총서’의 첫째 권으로 나오게 되었다. 부정적인 역사관이 대학가를 통해서 공유된 첫 세대가 현재의 40대이다. 그 40대의 지식인이 자기 부정을 극복하고 대한민국의 역사를 재발견하는 책이 ‘정체성 바로잡기’의 첫머리에 오는 것이 마땅하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15.

정용연 작가가 특유의 정감 있는 그림체로 때로는 기개 높고, 때로는 한없이 따뜻한 윤희순 의사의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윤희순 의사가 자신의 삶을 회고하며 쓴 <일생록>을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드라마틱한 서사를 전개하면서도 절제된 색 사용으로 묵직한 감동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