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박문영

최근작
2024년 2월 <방 안의 호랑이>

이 저자의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하이드
1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다락방
2번째
마니아
마니아 이미지
꼬마요정
3번째
마니아

[큰글자도서] 주마등 임종 연구소

(…) 소설 전면부에 나오는 인물들만큼 다른 인물들도 중요했다. 생각보다 잘 휘고 느슨한 존재들을, 그들 안의 운동성을 되도록 지우고 싶지 않았다. 여기 등장하는 지원자들의 모습은 그동안 함께 일했던 이들, 이름 대신 이모님이라고 불렀던 여성들에게 얻은 인상에 가깝다. 반드시 따스할 건 없었다. 대담하면서도 폐쇄적이고, 무심하면서 사려 깊은 이들이 각 장 안에서 본인만의 희비극을 쌓아가길 바라는 마음이 컸다. 이모님들과 나눈 대화는 짜증 나는 손님이나 일일드라마 전개에 대한 이야기 정도였지만 나는 우리들이 그때 지은 표정과 손짓 같은 기억 위에 일화를 만들어 붙일 수 있었다. TV를 고쳐줬다고 피자를 시켜준 아귀찜 식당의 이모, 카드단말기 계산은 너무 어렵다며 요구르트 한꾸러미를 건넨 스포츠센터의 이모, 내가 갈 테니 밥은 앉아서 먹으라고 말해준 이모들. 소설에 섞지 않은 얼굴들이 더 맑고 애틋하다. 차고 메마른 단락은 순전히 내 성미 때문이다. (…) 겁과 시간이 많은 나는 더 묵묵해져도 될 것 같다. 말 없는 사람들이 더 그리운 2020년. 한계에 다다를 때까지 이해와 우리라는 단어가 최대한 더디게 오염되면 좋겠다.

방 안의 호랑이

언젠가 소설가는 어떤 사람이냐는 막막한 질문을 받았을 때 나는 이런 답을 했다. 이 직업군에는 아무리 전망 좋은 방에서도 얼룩을 발견하는 사람들이 들어오지 않느냐고. 이 말을 뒤집으면 그 얼룩 너머 한뼘의 좋은 전망을 다시 발견하는 사람들이 소설을 쓴다는 뜻이 된다. 그러니 희망과 절망이 짙어지거나 옅어지는 순간에 휘말리지 않고 싶다. (…) 늘 그럴 수는 없어도 혼잣말을 혼잣말로 두지 않는 지면이 생긴 이상, 세상에 독자가 있는 이상 나는 더 부드럽고 단단하게 지내야 한다. 자신이 방 안에 있다는 것을 알거나 모르는 호랑이들에게 2024년 2월 박문영

세 개의 밤

끝난 이야기의 다음 장을 여는 일이 좋은 선택이었을까. 전부 새로 쓰거나 아예 쓰지 않는 편이 나았겠지. 겁을 잘 먹으면서도 왜 이따금 덮어놓고 대담해지는지 모르겠다. 머뭇거리다 내리는 나쁜 결정 하나 더. 중편을 장편으로 이어갔으니, 초판본에 남은 작가의 말도 이어가보기로 한다. 0에서 3까지가 8년 전 글이다. 0. 날씨는 맑고 죄는 쌓인다. 1. 나이가 한 자리였을 때는 달리기에서 자주 1등을 했다. 먼지와 꽃가루로 뿌연 봄의 운동장, 출발선에서 주먹을 야무지게 쥐고 눈을 빛내던 아이를 떠올린다. 하얀 깃대가 내려가면 몸이 반사적으로 튀어 나갔다. 의지에 대해 조금도 의심이 없었다. 티브이에서 다리를 펴지 못하는 사람을 봤을 때는 발을 마구 구르며 물었다. 이걸 이렇게, 이렇게 움직이면 되는데 저 사람은 왜 못 해? 나는 마음이 아플 정도로 혈색이 좋고 낙천적인 어린이였다. 그림책 바깥에 대한 상상력이 없었다. 2. 이 소설은 작년 겨울부터 올해 초봄까지 성실히 쌓은 실패의 기록이다. 유독 깜깜한 심정으로 시작했던 글이다. 18대 대통령 선거일에 개표 결과를 보면서 만든 초고가 이 중편으로 나왔다. 예상은 했지만 악습이 그대로 묻은 원고다. 쓰고 싶던 소설과 쓴 소설의 얼굴이 못 알아볼 정도로 다르다. 프랑켄슈타인이 꿰맨 괴물의 이마처럼 심란한 글 뭉치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이 형상이 지금의 나라면 방법이 없다. 하는 수 없이 지금의 나를 내보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3. 작업을 못 하는 이유는 하나다. 어제 하지 않아서. 요새는 무슨 작업해? 라고 묻는 곁의 동행들에게 깊은 고마움을 전한다. 만화와 소설을 만드는 인간에게 친구가 있다는 건 정말로 행운이다. 4. 책의 전신인 1부는 2013년에 쓰고 <사마귀의 나라>라는 중편으로 발표한 적이 있다. 2부는 2021년에 썼다. 헤어진 지 오래된 소설이란, 헤어진 지 오래된 사람 같아서 다시 마주했을 때 여러 번 멈칫했다. 치기로 똘똘 뭉쳐 심각한 얼굴. 하지만 그에게서 치기와 비약을 빼면 같은 사람일까. 입을 다문 내게 그가 말한다. 뭐해? 지금 내 걱정을 할 때가 아닌 것 같은데. 5. 나침반을 열면 바늘이 영원히 돌 것 같은 나날. 많은 게 달라졌다고 믿었지만, 초고를 만든 그 날과 오늘 표정은 비슷하다. 방향 없던 아이들에게 방향이 생기는 이야기. 소설을 고쳐 쓰며 되새겼던 이 메모가 한 권을 줄인 한 문장이 될 수 있길. 2022년 여름 박문영

주마등 임종 연구소

(…) 소설 전면부에 나오는 인물들만큼 다른 인물들도 중요했다. 생각보다 잘 휘고 느슨한 존재들을, 그들 안의 운동성을 되도록 지우고 싶지 않았다. 여기 등장하는 지원자들의 모습은 그동안 함께 일했던 이들, 이름 대신 이모님이라고 불렀던 여성들에게 얻은 인상에 가깝다. 반드시 따스할 건 없었다. 대담하면서도 폐쇄적이고, 무심하면서 사려 깊은 이들이 각 장 안에서 본인만의 희비극을 쌓아가길 바라는 마음이 컸다. 이모님들과 나눈 대화는 짜증 나는 손님이나 일일드라마 전개에 대한 이야기 정도였지만 나는 우리들이 그때 지은 표정과 손짓 같은 기억 위에 일화를 만들어 붙일 수 있었다. TV를 고쳐줬다고 피자를 시켜준 아귀찜 식당의 이모, 카드단말기 계산은 너무 어렵다며 요구르트 한꾸러미를 건넨 스포츠센터의 이모, 내가 갈 테니 밥은 앉아서 먹으라고 말해준 이모들. 소설에 섞지 않은 얼굴들이 더 맑고 애틋하다. 차고 메마른 단락은 순전히 내 성미 때문이다. (…) 겁과 시간이 많은 나는 더 묵묵해져도 될 것 같다. 말 없는 사람들이 더 그리운 2020년. 한계에 다다를 때까지 이해와 우리라는 단어가 최대한 더디게 오염되면 좋겠다. 2020년 11월

한국 SF 명예의 전당

혹한기를 닮은 이 중편은 2012년 12월의 메모로 시작했습니다. 중편을 장편으로 만든 작년엔 행간에 겨울뿐 아니라 다른 계절이 깃들면 좋겠다고 생각했고요. 10년 전, 메모를 이어나간 그 자리는 하필 보일러 파이프가 비껴가는 곳이라 발이 몹시 찼는데 별 수가 없어 거기 계속 앉아 있었습니다. 그러니 소설 속 춥고 밉고 좁은 기운은 그때의 제 것입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