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문학일반

이름:고봉준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70년, 대한민국 부산

최근작
2022년 6월 <김수영에서 김수영으로>

고봉준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나 충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9년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다. 1995년 같은 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해 <해방기 전위시의 양식 선택과 세계 인식>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2005년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근대성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문학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2006년 제12회 고석규비평문학상을, 2015년 제16회 젊은평론가상을, 2017년 제21회 시와시학상 평론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반대자의 윤리≫, ≪다른 목소리들≫, ≪모더니티의 이면≫, ≪유령들≫, ≪비인칭적인 것≫, ≪근대시의 이념들≫, ≪문학 이후의 문학≫ 등이 있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수상내역

저자의 말

<문학 이후의 문학> - 2020년 1월  더보기

지난 5년 ‘세월호’와 ‘촛불’은 우리 사회를 크게 바꿔놓았다. 그 사건들이 우리 사회의 불평등.부정의의 실체를 드러내어 정치에 대한 대중의 감각을 뒤흔들어 놓은 것은 부정할 수 없으리라. 하지만 ‘세월호’와 ‘촛불’로 인해 바뀐 것은 정치만이 아니다. 지난 5년의 시간 동안 한국문학 또한 불가역적인 변화를 겪었다. 세대와 감수성의 층위 모두에서 우리 시대의 문학은 ‘세월호’ 이전의 문학과 선명한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사건들을 지나오면서 누군가는 무능력한 언어로 인해 무너져 내렸고, 또 누군가는 자신이 굳게 지켜온 문학에 대한 기준과 믿음이 뿌리째 흔들리는 고통을 경험했다. 나는 지난 5년 동안 우리 시대가 마주한 사건들은 문학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전면적으로 바꿔놓았다고 생각한다. 특히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과 ‘미투 운동’을 계기로 표면화된 페미니즘 담론은 문학의 창작-소비-비평 시스템에 새로운 시각을 가져왔다. ‘문학 이후의 문학’이라는 제목은 이런 일련의 변화된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90년대의 저 유명한 ‘포스트’ 논쟁이 증명하듯이 ‘이후’는 ‘나중-시간’의 기호이면서 ‘단절/변화’의 기호이기도 하다. ‘이후’라는 명칭이 문제적인 까닭은 ‘나중-시간’과 ‘단절/변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도, 나아가 그것들이 매끄럽게 분리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문학 이후의 문학’이라는 제목을 사실판단보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읽기를 부탁드린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