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전치형

최근작
2024년 4월 <세월호, 다시 쓴 그날의 기록>

저자의추천 작가 행사, 책 머리말, 보도자료 등에서 저자가 직접 엄선하여 추천한 도서입니다.
이 분야에 7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옵션 설정
25개
1.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4월 30일 출고
    (중구 서소문로 89-31)
〈과정남〉이 읽어주는 과학은 아름답고 화려하지 않다. 〈과정남〉은 자연의 신비에 감탄하거나 혁신의 속도를 칭송하지 않는다.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점치거나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지도 않는다. 대신 다양한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과학이라는 이름 아래 모여 어떻게든 돈을 조달하고, 실험실을 꾸리고, 거기에 출근해서 일하는 모습에 주목한다. 또 국가가 어떤 논리를 개발하여 과학에 예산을 투입하고 과학을 사용하려 시도하는지 설명한다. 즉 〈과정남〉이 읽어주는 것은 직업으로서의 과학, 제도로서의 과학, 관계로서의 과학이다. 이 책이 들려주는 ‘과학기술의 일상사’란 매일매일 고생스럽게 연구개발이라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일상에서 과학을 접할 일이 없는 시민들도 한 번씩은 들어두면 좋을 무대 뒤의 과학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은 모든 독자가 과학을 더 쉽고 친근하게 느끼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과학은 언제나 어렵다. 하지만 〈과정남〉의 성실한 과학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과학을 보고 듣는 남다른 감각 하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 양탄자배송
    내일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중구 서소문로 89-31)
〈과정남〉이 읽어주는 과학은 아름답고 화려하지 않다. 〈과정남〉은 자연의 신비에 감탄하거나 혁신의 속도를 칭송하지 않는다.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점치거나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지도 않는다. 대신 다양한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과학이라는 이름 아래 모여 어떻게든 돈을 조달하고, 실험실을 꾸리고, 거기에 출근해서 일하는 모습에 주목한다. 또 국가가 어떤 논리를 개발하여 과학에 예산을 투입하고 과학을 사용하려 시도하는지 설명한다. 즉 〈과정남〉이 읽어주는 것은 직업으로서의 과학, 제도로서의 과학, 관계로서의 과학이다. 이 책이 들려주는 ‘과학기술의 일상사’란 매일매일 고생스럽게 연구개발이라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일상에서 과학을 접할 일이 없는 시민들도 한 번씩은 들어두면 좋을 무대 뒤의 과학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은 모든 독자가 과학을 더 쉽고 친근하게 느끼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과학은 언제나 어렵다. 하지만 〈과정남〉의 성실한 과학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과학을 보고 듣는 남다른 감각 하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3.
  • 양탄자배송
    내일 밤 11시 잠들기전 배송
    (중구 서소문로 89-31)
절대 실패해서는 안 되는 일에 실패했음을 깨달았을 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더구나 자신이 그 실패의 일부였음을 인정하는 이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저자에게는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이 바로 그런 일이었다. 세월호 조사위원회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종결했을 때, 저자는 잠시 좌절한 다음 곧 회의록과 보고서를 읽어나갔다. 실패한 재난조사의 기록에는 한국 현대사의 고통스런 궤적과 한심한 정치적 다툼, 무능과 비겁과 어리석음, 그리고 무엇보다 피해자들의 고통이 있었다. 저자가 관찰하고 분석하며 또 고백하고 성찰하는 실패에서 우리는 마지막 배움의 기회를 얻는다. 세월호 이후 우리는 과연 조금이라도 나아질 것인가?
4.
  • 지금 택배로 주문하면 4월 29일 출고
    (중구 서소문로 89-31)
김초엽과 김원영은 각자의 몸을 둘러싼 테크놀로지와 세계를 관찰하면서 과연 누가, 어떤 방식으로 사이보그가 되는지 묻는다. 이들은 ‘장애인을 위한 따뜻한 테크놀로지’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테크놀로지와 사회가 어떻게 재설계되어야 하는지 상상하고 제안한다. 그 재설계는 깜짝 놀랄 만한 테크놀로지가 나올 50년 후가 아니라, 바로 지금 장애인의 삶을 중심에 두고 시작되어야 한다는 이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5.
김초엽과 김원영은 각자의 몸을 둘러싼 테크놀로지와 세계를 관찰하면서 과연 누가, 어떤 방식으로 사이보그가 되는지 묻는다. 이들은 ‘장애인을 위한 따뜻한 테크놀로지’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테크놀로지와 사회가 어떻게 재설계되어야 하는지 상상하고 제안한다. 그 재설계는 깜짝 놀랄 만한 테크놀로지가 나올 50년 후가 아니라, 바로 지금 장애인의 삶을 중심에 두고 시작되어야 한다는 이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6.
자신을 만든 인간을 넘어서고, 마침내 인간을 공격하고 죽이는 로봇은 『R. U. R.』 이후 많은 SF 작품의 모티프가 되었다. 그러나 스스로 공격 대상을 설정하고 방아쇠를 당기는 자율살상무기(LAWS)는 픽션에 나오는 인간형 로봇 캐릭터에 그치지 않으며, 몇몇 나라의 군대에서 실제로 개발하고 있는 기계장치다. 이러한 ‘킬러 로봇’은 우리에게 인간의 개입 없이 로봇의 계산과 판단에 따라서 다른 인간들을 죽여도 괜찮은지를 묻는다. 로봇은 자의식을 얻었기 때문에 사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하도록 허용하는 조직과 제도와 법률이 있기 때문에 사람을 죽인다. 따라서 현실의 ‘킬러 로봇’에 대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국제 사회 또는 한국 정부는 로봇이 직접 타깃을 고르고 방아쇠를 당기도록 허용할 것인가”라고 묻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헬레나의 윤리적 문제의 식을 받아들이되 도민의 현실적 관점도 잃지 않을 수 있다.
7.
<과정남>이 읽어주는 과학은 아름답고 화려하지 않다. <과정남>은 자연의 신비에 감탄하거나 혁신의 속도를 칭송하지 않는다.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점치거나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지도 않는다. 대신 다양한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과학이라는 이름 아래 모여 어떻게든 돈을 조달하고, 실험실을 꾸리고, 거기에 출근해서 일하는 모습에 주목한다. 또 국가가 어떤 논리를 개발하여 과학에 예산을 투입하고 과학을 사용하려 시도하는지 설명한다. 즉 <과정남>이 읽어주는 것은 직업으로서의 과학, 제도로서의 과학, 관계로서의 과학이다. 이 책이 들려주는 ‘과학기술의 일상사’란 매일매일 고생스럽게 연구개발이라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일상에서 과학을 접할 일이 없는 시민들도 한 번씩은 들어두면 좋을 무대 뒤의 과학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은 모든 독자가 과학을 더 쉽고 친근하게 느끼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과학은 언제나 어렵다. 하지만 <과정남>의 성실한 과학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과학을 보고 듣는 남다른 감각 하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